양자 큐레이션

Entanglement of nanophotonic quantum memory nodes in a telecom

고체점결함(SiV in Diamond) 양자 메모리를 활용한 도시 규모 광통신망 얽힘 생성

KEY SUMMARY

하버드대와 AWS가 공동 연구한 논문은 다이아몬드 내 실리콘 빈자리(SiV) 결함 기반 나노광학 양자 메모리 노드 두 개를 구현하고, 이를 약 35km의 도시 상용 광섬유망에 연결해 양자 얽힘을 생성·저장한 사례를 보고한다. 각 노드는 전자스핀과 광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리얼 방식으로 얽힘을 생성하고, 이를 핵스핀으로 전이해 초 단위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1,350nm 텔레콤 파장으로의 양자 주파수 변환 기술을 통합하여 장거리 광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이 연구는 고체 결함 기반 양자 메모리 노드가 상용 광통신 인프라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입증하며, 실용적 양자 중계기 및 대규모 양자 네트워크 구축을 향한 중요한 진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내 인공 원자인 SiV 결함 중심을 나노포토닉 포토닉결정 공진기와 결합한 양자 메모리 노드를 개발하고, 이를 실제 도시 광통신망에 통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안하고 실험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각 노드는 전자스핀과 핵스핀으로 구성된 다중 큐비트 레지스터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얽힘 생성, 장기 저장, 오류 검출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SiV 결함은 반전 대칭성을 지녀 광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방출 광자의 대부분을 ZPL(Zero-Phonon Line)으로 내보내기 때문에 광자 간 간섭의 신뢰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습니다. 실험에서는 공진기로 강화된 광자-스핀 상호작용과 time-bin 기반의 스핀-광자 얽힘 게이트를 활용해 원격 노드 간 고효율의 양자 얽힘 생성을 구현하였고, 생성된 얽힘은 핵스핀 큐비트에 전이되어 1초 이상 안정적으로 저장되었다. 핵스핀 간 얽힘 상태는 내장된 오류 검출 기법을 통해 신뢰성이 보강되었습니다.

양자 얽힘의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광섬유 손실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진은 SiV 센터에서 방출된 737 nm 광자를 텔레콤 O-band(1350 nm)로 변환하는 단일단계 양자 주파수 변환(QFC) 기술을 구현 하였습니다. 실험 시스템은 하버드 대학 캠브리지 캠퍼스 내의 두 대의 극저온 냉동기로 구성되었고, 두 노드는 캠브리지-보스턴-워터타운 지역을 순환하는 35 km 실제 도시 광케이블을 통해 연결 되었습니다. 얽힘 생성은 하나의 광자를 시간적으로 두 구간으로 인코딩하여 순차적으로 두 노드와 상호작용시키고, 마지막으로 한쪽 노드에서 Bell 상태 측정을 통해 수행됩니다. 이 방식은 기존의 두 광자 간 간섭 방식에 비해, 두 노드 간 광경로 위상의 정밀한 안정화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가지며, 실제 도시 인프라 환경에서도 얽힘 생성이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실험 결과, 40 km 저손실 광섬유와 35 km 상용 도시망에서 핵스핀 메모리 간 양자 얽힘의 생성과 장기 저장에 성공하였습니다. 얽힘 생성률은 수 초당 한 번 수준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상용 통신 인프라에 연동된 양자 얽힘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진전입니다. 본 연구는 향후 양자 중계기 구현 및 장거리 양자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주요 기술적 기반을 마련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저자들은 나노포토닉 구조의 소형화 및 집적도 향상, 양자 주파수 변환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실용적인 대규모 양자 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번 연구가 양자 통신 기술의 실제 응용 및 확장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림2. 양자 주파수 변환(QFC)을 포함한 시스템 구성과, 실험결과, & 실험에 활용한 상용 광섬유 링크의 지도

연구 그룹 소개 및 연구 전망

Harvard-AWS 연합 연구팀은 하버드대학교 Mikhail Lukin 교수가 이끄는 양자광학 이론 및 실험 그룹과, Amazon Web Services 산하 Center for Quantum Networking(CQNet)의 공동 연구체로 구성되었습니다. 단 AWS CQNet은 현재 다른 형태로 발전중입니다. 이 그룹은 중성원자(Harvard)에서 세계적 선도그룹임과 동시에 고체 내 결함 중심—주로 다이아몬드 내의 SiV 센터—을 기반으로 한 양자 메모리 기술과 이를 광섬유 기반 네트워크에 통합하는 실험적 역량에서 세계적 수준의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는 QuTech, Caltech, MIT, Cambridge등의 기관이 NV, SiV, SnV, Er 중심 등의 결함 큐비트를 기반으로 한 양자 네트워크 연구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각 기관은 큐비트 물리, 상호작용 구조, 전송 프로토콜, 메모리-광자 변환기술 등에서 서로 다른 강점을 보이며, 글로벌 수준의 기술 우위 확보를 위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KIST 양자기술연구단을 비롯하여 서울대학교, KAIST, GIST, 고려대학교, 등 주요 연구기관들이 고체점결함 기반 큐비트-광자 간 상호작용 연구, 그리고 파장 변환 기술 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최근에는 NV나 SiV 등 현재 높은 수준의 시스템 기술을 증명한 결함 뿐만 아니라, 차세대 결함계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으며, SiV와 유사하되 1–4K 수준의 운용이 가능한 SnV 센터나 대면적 웨이퍼 기술과 호환성이 높은 SiC 결함계, 또는 파장변환기 없이 통신 파장에서 동작 가능한 Er-doped 희토류 양자메모리, 실리콘 기반 T-center 등에 대한 연구도 점차 시도본격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체점겸함을 활용한 이 노드들이 3개, 5개, 10개로 늘어나고, 광섬유망 위를 달리는 양자 얽힘이 도시와 도시를 잇는 그날이 오게 될 것이다. 다이아몬드 속에서 시작된 이 작은 결함 하나가 양자 인터넷 시대를 여는 연결점이 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

파동의교차,지식의융합 양자세계의 최신소식을 받아보세요.

퀀텀웨이브에서 제공하는 콘텐츠

주목할 만한 최신 연구성과

양자물리학 분야의 혁신적 연구 결과를 쉽게 풀어서 소개하고 해설합니다

양자 세부분야 리뷰

양자컴퓨팅, 양자통신, 양자센서 등 각 분야별 심화 리뷰와 동향 분석

국내 연구실 연구 동향

국내 대학 및 연구기관의 양자 관련 연구 소식과 성과를 전해드립니다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quantum wave는 뉴스레터 구독 신청 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합니다.

1. 수집 항목

  •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quantum wave 뉴스레터 발송 및 구독자 관리

3. 보유 및 이용 기간

  • 구독 해지 시 또는 수집 목적 달성 시까지

4. 동의 거부 권리 및 불이익

  •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뉴스레터 구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5.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성명: 김제형
  • 연락처: jehyungkim@unist.ac.kr

※ 본 안내는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뉴스레터 구독 해지

구독을 해지하시려는 이유를 알려주시면, 더 나은 서비스를 위해 참고하겠습니다.

이메일 주소

구독 해지 사유 (선택사항)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quantum wave는 뉴스레터 구독 신청 시 아래와 같이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합니다.

1. 수집 항목

  •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quantum wave 뉴스레터 발송 및 구독자 관리

3. 보유 및 이용 기간

  • 구독 해지 시 또는 수집 목적 달성 시까지

4. 동의 거부 권리 및 불이익

  • 귀하는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뉴스레터 구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5.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 성명: 김제형
  • 연락처: jehyungkim@unist.ac.kr

※ 본 안내는 『개인정보 보호법』 및 관련 법령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주목할 만한 최신 연구

더 많은 내용보기

양자 큐레이션

고체점결함(SiV in Diamond) 양자 메모리를 활용한 도시 규모 광통신망 얽힘 생성

하버드대와 AWS가 공동 연구한 논문은 다이아몬드 내 실리콘 빈자리(SiV) 결함 기반 나노광학 양자 메모리 노드 두 개를 구현하고, 이를 약 35km의 도시 상용 광섬유망에 연결해 양자 얽힘을 생성·저장한 사례를 보고한다. 각 노드는 전자스핀과 광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시리얼 방식으로 얽힘을 생성하고, 이를 핵스핀으로 전이해 초 단위 시간동안 안정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1,350nm 텔레콤 파장으로의 양자 주파수 변환 기술을 통합하여 장거리 광손실을 최소화하였다. 이 연구는 고체 결함 기반 양자 메모리 노드가 상용 광통신 인프라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음을 입증하며, 실용적 양자 중계기 및 대규모 양자 네트워크 구축을 향한 중요한 진전을 보여준다

열린 강의실

새로운 양자패러다임: 연속-이산 하이브리드 양자프로세서

본 열린강의실에서는 큐비트 기반 양자컴퓨팅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연속 변수 (보손 모드)와 이산변수 (큐비트) 를 결합한 연속-이산 하이브리드 양자 프로세서의 개념과 응용을 다룹니다. 연속-이산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물리적 구현사례 (초전도회로, 이온트랩, 중성원자), 하이브리드 게이트 구조, AMM및 ISA필요성, 그리고 해밀토니안 시뮬레이션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마지막으로 연속-이산 하이브리드 프로세서의 주요과제와 향후 연구방향을 간략히 제시합니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quantum wave의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에 대해 보실 수 있습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 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0조에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수집행위 등 금지1)

  • 누구든지 전자우편주소의 수집을 거부하는 의사가 명시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자동으로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는 프로그램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하여서는 아니 된다.
  • 누구든지 제 1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수집된 전자우편주소를 판매, 유통시켜서는 아니 된다.
  • 누구든지 제 1항 및 제 2항의 규정에 의하여 수집, 판매 및 유통이 금지된 전자우편주소임을 알고 이를 정보전송에 이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제50조에2 (전자우편주소의 무단수집행위 등 금지2)

  • 제 50조 제 4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기술적 조치를 한자
  • 제 50조 제 6항의 규정을 위반하여 영리목적의 광고성 정보를 전송한 자
  • 제 50조의 2의 규정을 위반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판매, 유통 또는 정보전송에 이용한자